• 전체메뉴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특별판
    • 탐나는 서쪽
  • 공지사항
업데이트 : 2025년 09월 07일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특별판
    • 탐나는 서쪽
  • HOME
  • 전체기사

전체기사

말 잃은 사람을 술, 소장수는 화투.. 화전촌인데 주막골

신흥리 물도왓화전은 물도왓은 신흥리 2327번지에서 남쪽으로 2289번지까지 이어지던 화전마을이었다. 세종대왕 1430년 쌓은 하잣담이 마을 가운데를 지나고, 동쪽에 마을 식수원인 ‘거슨내’가 흐르고 있다. 거슨내를 솔내(松川)라고도 부른다. 인근 무덤 비석에는 ‘물도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4-03-27 07:45

제주도 인구 순유출.. ‘빈 교실’과 ‘빈 집’ 을 어쩌나?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25일, 「제주지역, 14년 만에 인구 순유출」이라는 제목으로 현장 리포트를 발표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제주지역은 지난 2010년 이후 인구 순유입 지역이었는데 2023년 유출인구가 유입인구보다 1689명 많아, 순유출 지역이 됐다. 출생아 수보다

이슈 장태욱 2024-03-26 06:39

선물 같은 아침, 세상 아름다운 것들이 모두 내 차지다

거리에 벚꽃이 피기 시작했다.개화를 재촉이나 하듯 아침까지 비가 내렸다.아침 일찍 길을 나섰다.날씨를 핑계로 오름 등반을 미루고 전망 좋은 곳에서 커피나 한 잔 마실 요량이었다.그런데 발길은 어느새 전망 좋은 찻집이 아니라, 전망 좋은 산을 향했다.감산리 마을회관 근처

여행 양희라 2024-03-24 21:49

이 착한 오겹살, 눈과 귀까지 행복하다

서귀포시농업기술센터 인근에 늘 손님이 붐비는 식당이 있다. 메뉴는 ‘오겹살 정식’ 한 가지인데, 늘 손님이 가득하다. 홀에도, 마당 별관에도 손님이 있다. 지난 11일, 주민자치 분과활동으로 위원들과 하례2리를 찾았다. 분과모임에 전동휠체어로 이동하는 교통약자 형이 있

동네 맛집 장태욱 2024-03-24 14:19

너무 안 맞았던 발리, 제주도 괸당을 알고 나서 발리가 보인다

저는 나이가 들면 우리나라가 아닌 외국에 가서 살고 싶었습니다. 아니 살아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10년 전, 그 당시 도시에 사는 30대 직장인 여성인 제 눈에 비친 한국사회의 모습은 그리 희망적이지 못 해서였을까요? 제가 여행으로 동남아를 자주 오가는 편이었는데, 동

여행 키라 이금영 2024-03-23 09:17

'행복한 나라'의 가난한 아이들, 글로벌이너피스가 돌본다

제주의 국제개발협력 비정부기구(NGO)인 글로벌이너피스(대표 고은경)가 삼성꿈장학재단과 함께 부탄의 수도 팀푸(Thimphu)에서 도서관 시설을 개선하고 도서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에 착수했다. 삼성꿈장학재단이 시행하는 글로벌 국외장학사업(꿈도서관사업) 공모에 글로

궨당네 장태욱 2024-03-22 03:57

올해 첫 경주마 경매 19일 열려, 2세마 최고가 9400만원

국내산 경주마(2세마) 경매가 19일 제주 경주마육성목장 내 경매장에서 열렸다. 2세 경주마 135필이 경매에 올랐는데, 46필이 새로운 주인을 만났다. 77번(언터처불×한센 교배마)가 9400만원에 거래돼 최고가를 기록했다. 59번(스페셜럭키×레이스데이 교배마)가 2

이슈 장태욱 2024-03-20 21:53

화전 일구다 숲에 불낸 화전민, 내몰림 앞당겼다

붉은오름 남서쪽 가시리 3795번지 화전은 지금 숲이 우거졌는데, 일제강점기엔 풀밭에 접해 있었다. 이곳의 동쪽 약 50m 거리엔 돌담 집터와 묘가 자리하고 있으며 마당 흔적과 산전 울담이 주변에 남아있다. 양하가 자라고 있어 과거에 사람이 거주했던 곳임을 알려준다.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4-03-18 23:22

“일본은 항상 가난한 나라, 제주도는 스마트폰 없이 여행 불가”

10여 년 전 교직을 그만 둔 후 한국문학과 한국역사를 공부하며 제 2막 인생을 살고 있는 일본인 아즈마 마사히로 씨가 제주도를 찾았다. 지난 7일 항공편으로 제주도에 입도한 후 자전거를 타고 섬을 여행하고 있다. 작은 책방을 방문하는 일정 가운데 17일, ‘북타임’을

여행 장태욱 2024-03-17 23:20

걸어서 서건도, 황홀한 봄날의 선물

화창한 토요일, 발길이 닿는 대로 걸었는데 어느새 서건도 앞에 닿았다. 14물이라 간조와 만조 차도 별로 없는데 정확히 아침 간조에 펼쳐진 모세의 기적. 하늘이 서건도를 가라는 계시라도 내렸나?누가 이섬을 ‘썩은섬’이라 했던가? 신이 조각조각 새겨놓은 섬이 진귀하기도

여행 양희라 2024-03-17 09:19

통 큰 김만일의 고향인데 마을 운영경비까지 걱정, 무슨 일?

남원읍 주민자치위원회(위원장 현승민)가 올해부터 분과별로 관내 17개 마을을 탐방해 마을의 소식과 애로를 청취하기로 했다. 지난 11일에 교육문과분과(분과장 양인호)가 의귀리를 첫 번째 마을로 정해 방문했다. 분과위원들은 마을회관에서 오철호 이장을 만나 마을에 대해

공간·공동체 장태욱 2024-03-16 00:10

건강과 일자리와 농가소득, 이 병에 세 가지를 담았다

그동안 민간에서 감기에 걸리거나 기가 허한 환자에게 당유자를 달여 마시게 했다. 그렇게 당유자는 민간의 사랑을 받으며 종을 유지했는데, 최근에는 당유자의 가치를 확인할만한 자료가 발표됐다. 감귤연구소는 지난 2021년 12월에 『대학나무 감귤』(현재욱 외 13인)을 발

생활·생애사 장태욱 2024-03-13 02:27

“코도 머리도 노랑한 화전민 송 씨, 토벌대 안내하다 끝내는..”

■가시리 영아동화전영아동화전은 표선면 가시리 3727, 3730번지 언덕 일원에 있었던 목장화전이다. 목장길이 신흥리와 이어져 있어서 주민들은 신흥리 마을과 교류가 많았다. 1918년 제주지형도에 집 8채가 보이는데 1945년 항공사진에는 없는 것으로 보아, 해방 전후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한상봉 2024-03-11 22:15

억울한 시민 진정 3년 뭉갠 道, ‘특별해도 너무 특별한’ 자치도

앞서 수차례 보도한 대로 서귀포시청이 표선면 소재 도로를 대지로 지목변경하면서, D씨 일가족의 삶은 깊은 수렁에 빠졌다.D씨는 이를 바로잡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D씨는 서귀포시청 공무원이 표선리 ★-8번지 토지의 지목을 도로에서 잡종지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담당직원이

이슈 장태욱 2024-03-11 14:26

푸른 하늘 아래 그리운 사람 그리워하기 좋은 날

모처럼 화창한 주말이다. 일요일 새벽마다 반복하는 일이지만, 오름 오를 생각에 새벽잠을 설치기 일쑤다. 이번 주는 큰지그리오름, 족은지그리오름, 바농오름이 기다린다.산행 초입에 거대한 고목이 쓰러져 누워있는 것을 보았다. 문득 그 고목이 살아온 세월이 궁금해졌다. 어

여행 양희라 2024-03-10 20:31

  • 31
  • 32
  • 33
  • 34
  • 35

최신기사

2025-09-06 11:05
여행

쿤밍 공항, 꽃을 든 가이드 뒤에 보이는 거대 공룡의 위용

2025-09-05 15:07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서귀포에 모인 복싱 꿈나무들, 그런데 선수가 이렇게 많을 줄이야!!

2025-09-04 16:12
생활·생애사

소농 선생은 스승이 돌아가시자 상복 입고 3년 예를 갖췄다

2025-09-03 11:22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아이들 흘린 웃음소리로 산자락엔 바람이 인다

2025-09-02 14:36
동네 맛집

고기 볶고 생선 튀기는 풍미에 유심초의 노래는 덤이다

전체기사 인기기사

  • 1

    오문복 선생과의 인연은 내 인생 최고의 행운

  • 2

    거친 바위틈에서 회복을 향한 몸부림, 널 보니 세상이 아름답다

  • 3

    갯벌 용궁이 열린 날, 일출봉과 식산봉 앞은 장관을 이뤘다

  • 4

    돼지우리 흔적만 남은 상문리 민모르 진씨 화전가옥

  • 5

    열 마리 넘는 우럭 소쿠리가 1만 원, 오일시장에선 좋은 일만 생긴다

공지사항

언론사 소개

  • 언론사 소개
  • 연혁
  • 윤리강령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서귀포사람들 | 법인명 : 주식회사 서귀포사람들 | 등록번호 : 제주,아01168 | 등록일자 : 2023년 07월 21일
발행인·편집인 : 장태욱 | 주소 : (우)6359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문로 6, 3층 | 발행일자 : 2023년 09월 15일
대표전화 : 064-733-4345 | 대표이메일 : [email protected]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태욱

서귀포사람들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3 서귀포사람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