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특별판
    • 탐나는 서쪽
  • 공지사항
업데이트 : 2025년 09월 03일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특별판
    • 탐나는 서쪽
  • HOME
  • 아카이브

아카이브

대가 소암 선생이 내게 준 호가 ‘죽음’이라니, 이걸 어쩌나

경독재(耕讀齋 소농 선생 서재)와 관련해 잊지 못할 추억이 있다. 거기서 인생 처음으로 호를 받았기 때문이다. 80년대 어느 날 소농 선생으로부터 경독재에 잠깐 다녀가라는 전갈이 왔다. 소암 선생(素菴 玄中和 선생)이 오셨으니 뵙게 인사를 올리라는 말씀이셨다. 소암 선

생활·생애사 이승익 2025-08-28 23:12

해수욕장 밑천 드러낸 날, 원담과 ‘바람의 노래’에 취했다

여덟물 간조기라 해수욕장 모래밭이 드넓게 바닥을 드러내고, 비양도가 바로 눈앞까지 다가온다. 모래사장을 서쪽에 검은 현무암 대지가 드러나는데, 거기에 두터운 돌담이 제 모습을 드러낸다. 우주인이 바다에 남기고 간 조각품으로 오해를 살만 한데, 공동체가 오래도록 쌓고 지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장태욱 2025-08-26 17:47

“야속한 세월, 사촌 포함 7형제 가운데 나만 살아남았다”

일제강점기와 해방, 근대화의 모든 과정은 민초들에게 폭력으로 점철된 역사였다. 이 기간을 거치는 동안 역사의 폭력을 단 한 차례로 피하지 못한 가족이 있다. 가족사의 모든 걸 지켜본 홍태생 삼춘이 그동안 가족이 격은 일을 전했다.홍태생 삼춘은 1942년, 서귀포시 남원

생활·생애사 (사)기록과 기억 2025-08-23 13:54

신창리 진씨 1800년대에 상문리 윤못화전으로 이주, 목축으로 가업 일궈

조선시대 중문리 북쪽에 상문리라는 화전마을이 있었다. 1914년 상문리 화전 지역에는 47호가 살았고 이들은 밭 149필지, 임(林) 여섯 필지를 소유했다. 그 중 여덟 가구가 윤못화전에 살았다. 윤못화전은 거린사슴오름 기슭에 있었던 연못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윤못화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5-08-22 12:45

소농 예술의 산실 경독재(耕讀齋), 훗날 보물이 될 것이다

소농 오문복 선생의 인연 가운데 성산포 주관으로 시화전시를 열었던 일은 평생의 보람으로 생각한다. 회원들끼리 사석에서 의견이 오갔는데 전시가 성사됐고, 관람객들이 많이 찾았다.■ 소농 오문복 시서화전(素農 吳文福 詩書畵展) 성산포문학회가 창립하여 1년쯤 되던 2009

생활·생애사 이승익 2025-08-21 14:34

식수원이고 목욕탕이었는데, 이젠 더위에 지친 나그네의 쉼터

절기가 오락가락 한다. 무더위 끝에 잠시 가을장마가 섬에 머물더니, 또 무더위가 찾아왔다. 더운 날, 시원한 물가에서 더위를 날리는 건 모든 이들의 즐거움이다.▲ 15일 서귀포시 송산동 자구리물에 사람들이 몰렸다.(사진=장태욱)15일 오후, 서귀포시 송산동 자구리공원에

공간·공동체 장태욱 2025-08-16 07:10

오문복 선생과의 인연은 내 인생 최고의 행운

인연(因緣)이란 무엇일까. 사전적 의미의 인연이라 함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분 또는 사람이 상황이나 일, 사물과 맺어지는 관계' 를 인연이라 한다. 소농 오문복 선생님과 나의 인연은 어떻게 이루어져 오늘일까.특히 비학비천(非學卑賤)한 내가 소농 선생님과의 인연은 칠

생활·생애사 이승익 2025-08-13 22:58

돼지우리 흔적만 남은 상문리 민모르 진씨 화전가옥

국가기록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1914년 상문리 화전 지역에는 47호가 살았고 이들은 밭 149필지, 임(林) 여섯 필지를 소유했음을 확인했다. 그 중 여섯 가구가 민모르화전에 살았다.■ 민모르화전 민모르화전은 중문동 1∼17번지에 있던 화전이다. 민모르오름 남쪽에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5-08-07 15:35

말을 걸어올 것 같은 그 옛날 '루이비통’

예전 제주도사라들은 대나무를 쪼개서 구덕을 만들어 썼다. 용도에서는 육지의 바구니와 비슷한데, 제주도 구덕은 바닥이 직사각형과 비슷한 모양이다. 차롱은 만드는 방법에선 구덕과 비슷한데, 용도가 조금 다르다. 구덕은 물건을 운반하는데 사용됐고 차롱은 음식을 보관하는 데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장태욱 2025-08-01 15:02

일주도로와 토지조사사업, 상문리 화전마을 해체 시작됐다

1911년 제작된 『조선지지자료』 전라남도 대정군 좌면 에는 ‘녹하지산(鹿下地山)’이 상문리(上文里)에 있다는 기록이 있다. 에는 鹿下地野(녹하지들 또는, 녹하지벵듸)라는 지명이 나오는데, 入所火田野(입소화전야)가 상문리에 있다는 내용이 있다. 入所火田野(입소화전야)는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5-07-23 23:37

중문리 위에 상문리, 민란에 가담한 사람들

중문동은 중문관광단지와 해수욕장, 천제연폭포 등이 있어서 제주도 관광을 주도하는 지역이다. 관광단지 안에 수많은 볼거리와 편의시설이 있어서 여행객들, 특히 신혼부부들이 이곳을 방문해 추억을 쌓는다.지금의 중문동에는 과거 상문리, 중문리, 하문리라 불리는 세 개의 마을이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5-07-17 08:07

일본서 돌아와 징용 가고 4·3 때 사살되고.. 기구한 사람들

너른도화전에 속했던 하원동 1848번지는 일제강점기에 박재후가 살던 집이다. 그런데 변재덕이란 사람이 색달동에 살았는데, 너른도로 이주해 살면서 박재후의 밭을 사들였다. 이후 이 땅은 변 씨 집안 소유가 됐다. 제주4·3 때 화전민 변덕하는 해안으로 내려오지 못하고 산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5-07-09 22:41

전쟁 때 벌목꾼 트럭은 너른도화전 지나 모슬포로 달렸다

하원동 상잣 위에 너른도화전이 있었다. 과거 주민들은 지금의 마을을 하원, 영실 일대를 상원, 너른도 일대를 중원이라 불렀다. 조선시대 호적중초에는 너른도에 화전민 50명이 살았다는 기록이 있다. 1914년 일제가 토지조사사업을 시행하면서 남긴 기록에는 하원동 주민 1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5-07-03 15:17

하원과 상원(영실) 사이 중원은 화전마을이었다

과거 서귀포시 하원동 상잣 위에 너른도화전이 있었다. 법정사항일운동 발상지로 가는 길가 하천변에 있었는데, 하원동 1848번지 일원을 이른다. 주민들은 영실 주변을 상원, 이 지역을 중원이라 부르기도 한다. 하원동은 중산간 마을로 법화사와 관련이 많은 마을이다. 하원동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5-06-26 08:15

누가 나의 가족? 오래된 사진 속 풍경이 묻는다

도시 뒷골목에 뛰어노는 사진 속 아이들은 한없이 행복하다. 부모님이 일터에 나간 사이 이들은 함께 놀고 밥도 같이 먹는다. 이 시대 친구는 또 하나의 가족이었다. 제주도 바당과 밭에서 어른들이 일하는 풍경은 그 시대 수눌음을 담았다. 거친 환경에서 함께 생활하는 섬사람

공간·공동체 장태욱 2025-06-25 07:52

  • 1
  • 2
  • 3
  • 4
  • 5

최신기사

2025-09-03 11:22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아이들 흘린 웃음소리로 산자락엔 바람이 인다

2025-09-02 14:36
동네 맛집

고기 볶고 생선 튀기는 풍미에 유심초의 노래는 덤이다

2025-09-01 15:01
여행

드넓은 물, 고목그늘 아래 선들바람.. 무더운 날도 향기롭다

2025-08-31 01:04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눈이 푹푹 내린 것 같은 돌담, 이 올레가 나의 나타샤

2025-08-30 14:03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할망장터’에선 단호박 한 망이 5천원, 여기만 있는 가격

아카이브 인기기사

  • 1

    오문복 선생과의 인연은 내 인생 최고의 행운

  • 2

    돼지우리 흔적만 남은 상문리 민모르 진씨 화전가옥

  • 3

    식수원이고 목욕탕이었는데, 이젠 더위에 지친 나그네의 쉼터

  • 4

    신창리 진씨 1800년대에 상문리 윤못화전으로 이주, 목축으로 가업 일궈

  • 5

    소농 예술의 산실 경독재(耕讀齋), 훗날 보물이 될 것이다

공지사항

언론사 소개

  • 언론사 소개
  • 연혁
  • 윤리강령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서귀포사람들 | 법인명 : 주식회사 서귀포사람들 | 등록번호 : 제주,아01168 | 등록일자 : 2023년 07월 21일
발행인·편집인 : 장태욱 | 주소 : (우)6359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문로 6, 3층 | 발행일자 : 2023년 09월 15일
대표전화 : 064-733-4345 | 대표이메일 : [email protected]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태욱

서귀포사람들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3 서귀포사람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