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특별판
    • 탐나는 서쪽
  • 공지사항
업데이트 : 2025년 08월 02일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특별판
    • 탐나는 서쪽
  • HOME
  • 연재

연재

애기허벅 깨진 날처럼 울음 엎질러 놓은 파도

장맛비 잠시 물러가어스름 내리는 새연교쉼 없이 밀려오는 파도옛날 연륙교에 부딪쳐마침내 울음 엎질러 놓았다.오래전,어머니 소녀 시절애기허벅 내리다엎질렀을 그 울음PHOTO BY 양희라

여행 양희라 2024-07-03 07:45

고추 직접 키워서 김장, 매콤하고 단백한 등뼈묵은지찜은 일품

딸이 며칠 휴가를 내고 집에 왔다. 공항에 마중하고 돌아오는 길인데, 비가 내리고 어둠이 깔렸다. 오는 딸이나 마중하는 부모나 모두 밥 때를 놓쳐 허기가 몰려온다. 비가 내려 몸과 마음이 축축해지는 날, 얼큰한 국물에 따뜻한 밥 한 술 뜨면 힘이 날 것이다.남원읍사무소

동네 맛집 장태욱 2024-06-30 14:45

아버지 등에 업혀 감낭굴화전에 들어간 아기, 유력 가문 일궈

앞선 기사에서 감낭굴화전은 위미리의 유일한 화전이었다고 기술했다. 당시 감낭굴에는 천주교인이 2명 예비교인이 16명일 정도로 꽤 큰 화전촌이었다. 감낭굴화전에 누가 최초로 들어와 살았는지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다.▲ 노리못. 감낭굴화전 주민들이 생활용수를 구했던 연못이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4-06-28 08:25

송당의 7남 부부와 몽골의 좌씨 감목관, 이 모래땅에 어떻게 자리잡았을까?

1. 송당계보의 이유를 찾아 한동으로 한동으로 접어들었다. 덕평로에서 한동로로 이어지는 길도 장맛비로 젖었다. 하지 무렵의 비는 농사에 좋다지만 한꺼번에 쏟아지지 말길 바랐다. 구좌읍 한동리 본향당 신의 이름은 ‘궤본산국’. 송당의 일곱째 아들이다. 김오생 심방은 제주

신화의 숲 강순희 2024-06-26 16:02

미나리 향 듬뿍 삼겹살 구이, 높은 가성비에 장마철 건강까지

제주도에 장마가 찾아왔다. 아마도 앞으로 한 달은 습한 날씨와 전쟁을 치러야 할 것이다. 일찌감치 제습기도 새것으로 바꿨고, 농장에 잡초도 깎아냈다. 즐거운 상상하고 좋은 사람들 만나 맛있는 음식 나누다보면, 이 눅눅한 시간 또한 지나갈 것이다.네 사람이 저녁을 함께

동네 맛집 장태욱 2024-06-25 00:01

성스러운 여름 숲, 스스로를 부양하는 푸르고 우뚝한 것들

굵은 장맛비 멈추고잠시 길 내어준 틈에찾아간 이승이오름바람이 미처 물기 털어내지 못해나뭇잎과 거미줄에는 물방울이 붙잡혀 있다.초원 지나세속 경계를 넘어서는 순간눈앞에는 안개에 뒤덮인 성스러운 세상짙은 여름 냄새가 밀려오고무성한 숲의 덮개가 하늘을 가린다.작가 김훈이 말

여행 양희라 2024-06-24 00:03

민란 때 교인만 18명이던 위미리 감낭굴화전, 다 어디로?

남원읍 위미리 감낭굴화전은 화전 인근 묘비 문구에서 ‘시목동(柿木洞)’이란 이름으로 확인된다. 위미리 4576~4587번지 사이가 감낭굴 화전에 들어가며, 감낭굴에서 떨어진 이생이오름(이승악) 인근 위미리 4589, 4590번지에 화전 집터도 있다. 그런데 위미리 45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4-06-21 15:28

여름 수목원에서 신의 숨결 같은 산들바람에 취한 날

숲길이 그리워 찾아간한라생태숲과 절물휴양림신록 무성해진 숲은저마다 자기 욕망을 드러내는치열한 생존 현장이다.나무가 키운 풍성한 잎으로공기는 한층 더 짙어졌고흥분을 주체하지 못한 산새들싱그러운 소리를 내며 서성거린다.꺼내든 책 한 권,신의 숨결 같은 산들바람에 취해여기서

여행 양희라 2024-06-17 23:34

예래생태공원, 초록 냄새 묵직하게 내려앉은 새벽

새벽, 물소리 그리워발길 닿은 예래생태공원어머니 젖가슴 같은 대왕수천살아있는 모든 것들은이 물에 목을 축이고더 큰 숨을 쉰다.초록 냄새 묵직하게 내려앉은 시간물소리에 나처럼 설렌 바다가잠에서 깬다.PHOTO BY 양희라

여행 양희라 2024-06-16 01:16

초딩 입맛, 내 힐링 푸드 짜장면이 5천원

짜장면, 우습게 들릴지 모르지만 내겐 소울 푸드 같은 음식이다. 초등학교 2학년 때 처음 먹었는데, 그 첫 번째 한 젓가락을 아직도 기억한다. 그 기억 때문에 한때 중국음식 요리사가 꿈이었던 적도 있다.며칠 전 ‘서귀포시 여성청소년 쉼터’ 2분기 운영위위원회가 열렸다.

동네 맛집 장태욱 2024-06-15 09:30

한라산 숲속에 '불칸터', 산으로 숨은 피난민들은 왜 하필 여기로 들어왔나?

궤영곶은 그 뜻이 분명하지 않으나 ‘궤엉곶’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인근 하천 ‘홋긋내’, 즉 한남리 물오름 서쪽에서 다래오름(거린악, 큰거린으로 잘못 불리는 오름) 북쪽으로 흘러드는 하천에 궤와 엉이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곶 지역에 거주했던 화전민은 3∼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4-06-13 00:33

저녁 배 금줄을 쳐놓은 차귀도 바다

황금 같은 연휴고산리 당산봉에 올랐다.해발 150미터도 안 되는 오름 정상거북바위 찾아가는 길인데차로 먼 길을 왔다.녹고의 눈물 흐르는 수월봉잔잔한 바다 위에금줄을 쳐 놓은 것처럼저녁 배가 불을 밝힌다.PHOTO BY 양희라

여행 양희라 2024-06-09 09:19

들깨 향 구수한 국물에 쫀득한 수제비 퐁당, 날 위로하는 감자탕

6월이 다 되었는데, 이상하게 밤공기가 차다. 지난해 기승을 부리기 시작한 엘리뇨가 물러갈 조짐인가 보다. 절기로는 시원한 음식이 그리워져야 할 텐데, 따끈한 국물요리가 생각난다. 몸이 원하는 대로 얼큰한 감자탕으로 저녁 요기를 하기로 했다. 남원포구 인근에 있는 ‘서

동네 맛집 장태욱 2024-06-08 09:20

냇가 물고문으로 민간인 죽어갈 때 고구마로 토벌군 구워삶은 화전민

제주4·3은 화전마을을 포함해 제주도 중산간 마을에 회복할 수 없는 피해를 남겼다. 국방부는 1948년 11월 21일, 제주도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그리고 그 이틀 후인 11월 23일에 중산간 주민들에게 소개령(疎開令)을 내렸다. 이 시기부터 이듬해 봄 3월에 이르는

공간·공동체 한상봉 2024-06-06 09:21

소라의성에서 노을에 젖어 돌아왔다

초여름 볕에 힘이 풀릴 무렵,서귀포 해안으로 나섰다.정모시공원에서  소라의성 지나소정방폭포로 이어지는 이 길에어스름이 깔리면폭포 물소리만이저녁 공기에 파문을 낸다.오늘도 노을에 젖어 돌아왔다.PHOTO BY 양희라

여행 양희라 2024-06-02 22:17

  • 11
  • 12
  • 13
  • 14
  • 15

최신기사

2025-08-02 08:25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구품연지 넓은 연못에 활짝 핀 꽃, 바람과 새를 부른다

2025-08-01 15:02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말을 걸어올 것 같은 그 옛날 '루이비통’

2025-07-31 00:15
서귀포 오석학교

평생에 피자 만들기는 처음, 그런데 맛있구먼!

2025-07-30 12:59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붉은 해에 포효하는 사자바위, 물결마저 거칠어졌다

2025-07-29 10:18
親Book 동네

천사방성의 섬 제주에서 끊임없이 충돌하는 욕망

연재 인기기사

  • 1

    전생의 요람 같은 추억의 숲길, 호위무사 나무들

  • 2

    ‘눈물이 핑 도는 자리물회’ 그건 고향이다

  • 3

    일본서 돌아와 징용 가고 4·3 때 사살되고.. 기구한 사람들

  • 4

    전쟁 때 벌목꾼 트럭은 너른도화전 지나 모슬포로 달렸다

  • 5

    고급스러운 보쌈수육 1인분이 8,000원, 이게 되나?

공지사항

언론사 소개

  • 언론사 소개
  • 연혁
  • 윤리강령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서귀포사람들 | 법인명 : 주식회사 서귀포사람들 | 등록번호 : 제주,아01168 | 등록일자 : 2023년 07월 21일
발행인·편집인 : 장태욱 | 주소 : (우)6359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문로 6, 3층 | 발행일자 : 2023년 09월 15일
대표전화 : 064-733-4345 | 대표이메일 : [email protected]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태욱

서귀포사람들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3 서귀포사람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