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특별판
    • 탐나는 서쪽
  • 공지사항
업데이트 : 2025년 09월 08일
  • 전체기사
  • 라이프
    • 궨당네
    • 여행
    • 사람이 사는 세상
    • 親Book 동네
    •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 아카이브
    • 생활·생애사
    • 공간·공동체
    • 사건의 재구성
    • 기록의 발견
  • 이슈
  • 오피니언
    • 칼럼
    • 기고
  • 서사람TV
  • 연재
    • 동네 맛집
    • 서귀포 오석학교
    • 제주 사는 키라씨
    • 한상봉의 ‘제주도 화전’
    • 기억의 재구성, 남영호 참사
    • 신화의 숲
    • 김미경의 생태문화 탐사
    •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 평생교육
  • 특별판
    • 탐나는 서쪽
  • HOME
  • 아카이브

아카이브

"농약 먹을 수는 없어 무농약 농사, 일본에서 EM농법 터득"

이영민 선생은 1935년 도순동에서 태어나 도순국민학교와 서귀중학교를 졸업했다.30세 즈음에 마을 이장을 맡아 주민의 소득 향상을 위해 궁리하던 끝에 새마을금고 설립을 주도했다. 금리가 연 40%에 달하던 시절, 더불어 잘 사는 방법을 찾아 금고를 설립하자고 제안했다.

생활·생애사 장태욱 2023-10-25 22:58

40년 배 ‘신조선’이라 보도하는 신문, 도민은 목숨 걸었다

일제강점기 제주도민을 오사카로 실어날았던 군대환(君代丸)이 취항한 지 100년을 맞았다. 제주자치도는 7일부터 오는 11월 3일까지 제주대학교 박물관 3층 전시실에서 군대환 취항 100주년 기념하는 특별전시를 하고 있다. 군대환과 함경환, 교룡환, 목목환 등 제주도민을

기록의 발견 장태욱 2023-10-24 01:16

"중학생 때 전쟁, 학도병 지원했는데 불합격"

이영민 선생은 1935년 도순동에서 태어나 도순국민학교와 서귀중학교를 졸업했다. 중학교 1학년 때 4.3을 겪었는데, 무장대의 침입을 피해 묘담에 몸을 숨겼다고 한다. 중학교 3학년 때 전쟁이 나자 학도병에 지원했는데 키가 작아 불합격했다. 당시, 친구들은 대부분 학도

생활·생애사 장태욱 2023-10-21 01:31

‘대포리 참사’ 함경환, 한-일 청구권 협상 대상이었다

일제강점기 제주도민을 오사카로 실어날았던 군대환(君代丸)이 취항한 지 100년을 맞았다. 제주자치도는 7일부터 오는 11월 3일까지 제주대학교 박물관 3층 전시실에서 군대환 취항 100주년 기념하는 특별전시를 하고 있다. 군대환과 함경환, 교룡환, 목목환 등 제주도민을

기록의 발견 장태욱 2023-10-15 21:08

식물학과 감귤산업의 초석, 타케 신부를 기억하라

에밀 타케 신부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회가 서홍동 소재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면형의집에서 열린다. 주제가 ‘타케의 정원’인데, 제주도에 자생하는 다양한 식물을 채집해 전 세계에 알린 타케 신부의 업적과 생애를 보여주는 자료가 전시됐다. (사)서귀포문화사업회·(

생활·생애사 장태욱 2023-10-09 23:04

100년 전 제주도민 실어나른 군대환은 폐선 직전 노후선박

일제강점기 제주도민을 오사카로 실어날았던 군대환(君代丸)이 취항한 지 100년을 맞았다. 제주자치도는 7일부터 오는 11월 3일까지 제주대학교 박물관 3층 전시실에서 군대환 취항 100주년 기념하는 특별전시를 하고 있다.군대환과 함경환, 교룡환, 목목환 등 제주도민을

기록의 발견 장태욱 2023-10-08 20:47

"무장대가 아버지 살해, 중산간 마을 빈집 털러도 갔다"

48년 무장대의 공격으로 마을이 불타고 아버지가 희생됐다. 당시 위미리에는 어버지를 포함해 4명이 무장대에 희생됐다.당시 마을에는 무장대 침입에 대비해 성담을 두루고 주민들이 군데군데 망을 봤다. 강도범 어르신은 종지기로 시간을 알리거나 무장대 침입을 알렸다.

생활·생애사 (사)기록과 기억 2023-10-07 22:56

"감귤 유학 다녀왔는데 정보기관 끌려가 고초 당했다"

위미리 현동호 어르신어려서 4.3 때 집이 불탄 걸 보면서 고구마를 먹었던 기억이 있다.강원도 양구에서 군대 생활 했는데, 거기서 안두희가 군납 회사를 운영하며 부를 축적하는 걸 목격했다.일본에서 온주밀감이 도입되자 재배기술을 배우기 위해 유학을 갔다. 그런데 다녀온

생활·생애사 (사)기록과 기억 2023-10-07 22:37

  • 6
  • 7
  • 8
  • 9

최신기사

2025-09-07 13:52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떠나간 님을 좇는 저녁노을처럼 붉은 절규

2025-09-06 11:05
여행

쿤밍 공항, 꽃을 든 가이드 뒤에 보이는 거대 공룡의 위용

2025-09-05 15:07
생활·문화·행사·관혼상제

서귀포에 모인 복싱 꿈나무들, 그런데 선수가 이렇게 많을 줄이야!!

2025-09-04 16:12
생활·생애사

소농 선생은 스승이 돌아가시자 상복 입고 3년 예를 갖췄다

2025-09-03 11:22
양희라의 포토에세이

아이들 흘린 웃음소리로 산자락엔 바람이 인다

아카이브 인기기사

  • 1

    오문복 선생과의 인연은 내 인생 최고의 행운

  • 2

    신창리 진씨 1800년대에 상문리 윤못화전으로 이주, 목축으로 가업 일궈

  • 3

    식수원이고 목욕탕이었는데, 이젠 더위에 지친 나그네의 쉼터

  • 4

    소농 예술의 산실 경독재(耕讀齋), 훗날 보물이 될 것이다

  • 5

    “야속한 세월, 사촌 포함 7형제 가운데 나만 살아남았다”

공지사항

언론사 소개

  • 언론사 소개
  • 연혁
  • 윤리강령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서귀포사람들 | 법인명 : 주식회사 서귀포사람들 | 등록번호 : 제주,아01168 | 등록일자 : 2023년 07월 21일
발행인·편집인 : 장태욱 | 주소 : (우)6359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문로 6, 3층 | 발행일자 : 2023년 09월 15일
대표전화 : 064-733-4345 | 대표이메일 : [email protected]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장태욱

서귀포사람들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3 서귀포사람들. All rights reserved.